본문 바로가기

문화여행/문화유산

[담양 문화재] 개선사지석등(開仙寺址石燈)

[담양 문화재] 개선사지석등(開仙寺址石燈)


  • 지정별 : 보물 제111호
  • 규모 : 총높이 3.5m(1기)
  • 시대 : 통일신라(868년)
  •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소재지 : 전남 담양군 남면 학선리 593


상세설명

일제시대에 간행된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報)』에는 간주석 부분까지 묻힌 채로 있었으나 1965년에 주변을 정리하고 이를 노출시켰다고 한다. 1960년에 간행된 『국보도록(國寶圖錄)』에는 이미 지대석 부근까지 드러나 있고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문화재관리국의 고증을 받아 지대석과 하대석, 간주석 일부를 새로운 석재로 교체하는 복원공사를 하였다.

팔각형을 기본으로 삼는 고복형(鼓複形) 석등으로 높이는 3.5m이다. 세부양식을 살펴보면 넓은 방형(方形) 지대석(地臺石) 위에 팔각하대석(八角下臺石)을 올렸는데 1992년에 새로운 석재로 교체하였다. 그 위의 상대석(上臺石)의 복련(複蓮)은 복판팔엽(複瓣八葉)의 양련(兩蓮)으로 하대석의 복련(複蓮)과 대칭을 이룬다. 상대갑석(上臺甲石) 위에는 둥그런 괴임을 마련하였고 화사석(火舍石)의 각 면에는 장방형의 화창(火窓)을 내고 간주(竿柱) 양쪽을 이용하여 ’조등기(造燈記)’를 음각하였다. 팔각지붕 마루 끝에 귀꽃을 장식하였으나 현재는 대부분 깨졌고 하나만 남아있다. 옥개석 정상은 상륜 받침을 놓고 앙화(仰花), 보륜(寶輪), 보주(寶珠) 등의 상륜부(相輪部)를 차례로 놓았다.

화사석 기둥면에 새겨진 ’조등기(造燈記)’는 한 기둥에 각기 두 줄씩 기록되어 있고, 9행과 10행에 쓰여진 세주(細注)는 각기 두 줄로 되어 있다. 6행만 화창(火窓)의 모서리가 파손되어 글자를 새기기 어려워 3자 정도의 글자를 새길 수 있는 면을 여백으로 비워 놓았을 뿐 그 외의 모든 면에는 글자를 새겨놓았다. 1행부터 6행까지는 경문왕(景文王)과 그 왕비, 공주(뒤의 眞聖女王)가 주관하여 이 석등을 건립하였다는 기록이고, 7행부터 10행까지의 내용은 이 사찰의 승려가 주관하여 석등의 유지비를 충당하기 위한 토지의 구입과 그 토지의 위치에 관한 기록이다. 이 ’조등기’에는 연호(年號)가 기록되어 있어 석등의 건립연대를 알 수 있는데 1행에서 6행까지는 함통9년(咸通九年, 868년), 7행부터 10행까지는 용기 3년(龍紀三年, 891)이라는 연호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용기 3년은 실재하지 않고 환산하면 대순(大順)2년에 해당한다. ’조등기’는 총 10행 136자이며, 자경은 4㎝, 서체(書體)는 해서(楷書)이다. ’조등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景文大王主
② 文懿皇后主大郞主願石燈
③ 炷唐咸通九年戊子中春夕
④ 繼月光前國子監卿沙干金
⑤ 中庸途上油糧業租三百碩
⑥ 僧靈(判 ?) 建立石燈
⑦ 龍紀三年辛亥十月日僧入雲京租
⑧ 一百碩烏乎比所里公書俊休二人
⑨ 常買其分石保坪大業渚沓四結 五畦
⑩ 東令行土北同 奧沓十結 八 東令行土西北同
上南池宅土西川 畦 上南池宅土

(한자설명)
경문대왕과 문의황후, 그리고 큰 공주님께서는 불을 밝힐 석등을 세우기를 바라셨다. 함통 9년(경문왕 7년, 868) 무자해 음력 2월 저녁에 달빛을 잇고자 전임 국자감경인 사간 김중용이 (등을 밝힐) 기름의 경비로 3백 석을 날라오니 승려 영판(?)이 석등을 건립하였다. (혹은 건립하는 일을 주관하였다.) 용기 3년(실은 대순(大順) 2년, 진성여왕 5년(891) 신해년 10월 어느 날 승려 입운은 서울에서 보내준 조(혹은 서울에 보내야 할 조) 1백 석으로 오호비소리의 공서와 준휴에게서 그 몫의 석보평대업에 있는 물가에 있는 논 4결(주 : 논은 5배미인데, 동쪽은 영행의 토지이고 북쪽도 마찬가지이다. 남쪽은 지택의 토지이고 서쪽은 개울이다.)과 물가로부터 멀리 있는 논 10결(주 : 논은 8배미인데, 동쪽은 영행의 토지이고 서쪽과 북쪽도 같다. 남쪽은 지택의 토지이다.)을 영구히 샀다.

기타정보

광주 → 29번 국도 → 887번 지방도로 → 무등산 방향 → 광주호 쪽으로 우회전 → 길 오른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