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여행/역사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⑤근대이후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⑤근대이후

담양(潭陽)이란 명칭이 처음 사용된 것은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담양도호부조(潭陽都護府條)에 이르면, 「본래 백제(百濟) 추자혜군(秋子兮郡)이었는데 신라때 추성군(秋成郡)이라 바꾸었고, 고려 성종 14년(995)에 담주도단련사(潭洲都團鍊使)를 두었다가 후일 지금의 이름으로 고치어 나주에 복속하게 되었다. 명종 2년(1172)에 감무(監務)를 두었고, 공양왕 3년(1391)에 율원현(栗原縣)을 겸임케 하였다. 본조(朝鮮)에 들어와 태조 4년(1395)에 국사(國師) 조구(祖丘)의 고향이라 하여 군(郡)으로 승격시켰다. 공정왕(정종) 즉위 1년(1398)에 왕비 김씨의 고향이라 하여 부(府)로 승격시키었다가 태종 13년(1413)에 예(例)에 따라 도호부(都護府)로 삼았다.」

현재의 행정구역상으로 본 담양군은 담양읍과 고서(古西)ㆍ금성(金城)ㆍ대덕(大德)ㆍ무정(武貞)ㆍ대전(大田)ㆍ봉산(鳳山)ㆍ수북(水北)ㆍ월산(月山)ㆍ용(龍)ㆍ창평(昌平)의 11개 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현재의 담양군의 행정구역을 이루는 중요한 골격의 형성은 1914년 일제에 의해 단행된 행정구역 개편조처일 것이다. 즉 이때 담양군과 창평군을 합하여 담양군을 이루고 창평군 관할이었던 옥과면(玉果面)은 곡성군(谷城郡)에 이관시키며 그밖에 현 대전면, 수북면이나 남면을 이루는 지역은 광주시와 장성군의 관할에서 이속받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근세 이전의 담양군을 이루는 지역은 크게 보아 담양과 창평의 두 개의 행정단위로 나뉘어 존속해 왔었음을 알 수 있다.





1895년 갑오개혁(甲午改革) 때 전국을 23부의 체제로 나누었는데 담양과 창평은 남원부(南原府) 산하 20개 군중 하나로 편제되었다. 그러나 1896년 13도제로 변경하자 담양군과 창평군은 전라남도에 속하게 되면서 담양군은 2등군, 창평군은 4등군으로 되었다.
1906년 창평군 갑향면(甲鄕面)을 장성군으로 이관시키고 1908년에는 담양군의 덕면(德面)·가면(加面)·대면(大面)이 창평군으로 이관되고 옥과군이 폐지되어 창평군에 이속되는 변경이 있었다.

1914년 일제는 전국을 13도 12부 220군으로 개편을 단행한다. 이때의 담양지역 행정체제 개편을 보면 창평의 옥과면은 곡성군으로 이관시키고 창평의 군내면(郡內面)·고현내면(古縣內面)·내남면(內南面)·외남면(外南面)·서북면(西北面)·장남면(長南面)·동서면(東西面)·장북면(長北 面)·덕대면(德大面)·가면(加面)과 장성군의 갑향면(甲鄕面), 광주군의 갈리면(葛利面)과 대치면(大峙面)을 담양에 합속시키는 것이었다.



  이 때 면간의 통폐합 및 개명작업도 이루어져 담양군의 동·서면을 담양면으로, 목(木)·두(豆)·우(牛)면을 구암면(九岩面)으로, 광(廣)·산(山)·고(高)면을 월산면(月山面)으로, 고(古)면·천(泉)면을 금성면(金城面)으로 개명하였으며, 창평군의 고현내(古縣內)면·북(北)면·서(西)면을 고서면(古西面)으로, 내남(內南)면·외남(外南)면을 남면(南面)으로, 대(大)면·덕(德)면을 대덕면(大德面)으로, 장북(長北)·장남(長南)·동서(東西)면 및 광주의 갈전(葛田)면을 합쳐 수북면(水北面)으로, 광주의 갈전면 일부와 대치면, 장성군의 갑향면을 대전면(大田面)으로 통폐합하여 13면 139개리를 관할하는 체제를 만들었다.
  1918년에는 다시 면별 일부 면의 합속을 행하여 무면(武面)과 정면(貞面)을 합하여 무정면(武貞面)으로, 그리고 구암면(九岩面)을 봉산면(鳳山面)으로 고쳐 12면 체제를 이루었다.



  1943년에는 담양면이 읍으로 승격됨으로써 1읍 11면의 체제를 이루었고 1955년에는 광주(광산군)의 석곡면(石谷面) 덕의리(德義里)·충효리(忠孝里)·금곡리(金谷里)를 남면에 편입하였다가 1957년에는 다시 광주 관할로 되돌려주었고, 1983년에 또다시 행정구역의 조정을 이루어 봉산면의 강쟁리(江爭里), 무정면의 오계(五桂)·반룡리(盤龍里), 금성면의 금월(錦月)·삼만(三萬)·학동리(鶴洞里), 월산면의 운교(雲橋)·삼다(三茶)·가산리(佳山里) 지역이 담양읍으로 편입되었다.
  1976년에는 광주호의 건설로 남면의 학선리(鶴仙里) 일부 지역이 수몰되었고, 같은 해 담양호의 건설로 용면의 도림(道林)·월계(月桂)·산성(山城)·청흥(淸興)·용연리(龍淵里)의 일부 지역이 수몰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