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여행/역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⑤근대이후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⑤근대이후 담양(潭陽)이란 명칭이 처음 사용된 것은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담양도호부조(潭陽都護府條)에 이르면, 「본래 백제(百濟) 추자혜군(秋子兮郡)이었는데 신라때 추성군(秋成郡)이라 바꾸었고, 고려 성종 14년(995)에 담주도단련사(潭洲都團鍊使)를 두었다가 후일 지금의 이름으로 고치어 나주에 복속하게 되었다. 명종 2년(1172)에 감무(監務)를 두었고, 공양왕 3년(1391)에 율원현(栗原縣)을 겸임케 하였다. 본조(朝鮮)에 들어와 태조 4년(1395)에 국사(國師) 조구(祖丘)의 고향이라 하여 군(郡)으로 승격시켰다. 공정왕(정종) 즉위 1년(1398)에 왕비 김씨의 고향이라 하여 부(府)로 승격시키었다가 태종 13.. 더보기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④조선시대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④조선시대 대나무의 고장이며 여행자들의 필수코스로 자리잡은 담양!! 조선시대에 담양은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요? 참조글 2011/10/25 - [문화여행/역사] -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①선사시대 2011/10/26 - [문화여행/역사] -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②남북국시대(통일신라) 2011/10/27 - [문화여행/역사] -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③고려시대 왕의 눈물!! 태조가 통치하던 조선 개국시기엔? 우선 태조 4년(1395) 담양이 국사(國師) 조구(祖丘)의 고향이라 하여 감무관(監務官)을 지군사(知郡事)로 승격시키는 조치가 취해지고, 1399년 공정왕(정종)비 김씨의 외향(外鄕)이라.. 더보기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③고려시대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③고려시대 대나무의 고장이며 여행자들의 필수코스로 자리잡은 담양!! 고려시대에 접어들며 처음으로 '담양'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참조글 2011/10/25 - [문화여행/역사] -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①선사시대 2011/10/26 - [문화여행/역사] -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②남북국시대(통일신라) 드디어 담양이란 이름이 생기다 담양(潭陽)이란 명칭이 처음 사용된 것은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담양도호부조(潭陽都護府條)에 이르면, 「본래 백제(百濟) 추자혜군(秋子兮郡)이었는데 신라때 추성군(秋成郡)이라 바꾸었고, 고려 성종 14년(995)에 담주도단련사(潭洲都團鍊使)를 두.. 더보기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②남북국시대(통일신라)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②남북국시대(통일신라) 대나무의 고장이며 여행자들의 필수코스로 자리잡은 담양!! 선사시대부터 시작된 담양의 역사는 삼국시대를 건너 남북국시대로 접어듭니다. 천년왕조를 이어가는 통일신라의 통치 아래 있던 담양. 과연 이땐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참조글 2011/10/25 - [문화여행/역사] -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①선사시대 당(唐)나라에 의한 지방제도의 개편 신라가 지방제도 체제를 정비하기 전에 당(唐)에 의한 지방제도의 개편이 이루어진다. 즉 당은 백제의 옛 땅에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를 설치하고 7주 51현을 설치하였다는 것인데 담양지역과 관계가 되는 것은 분차주(分嵯州)이다. 분차주(分嵯州)의 속현(屬縣)인 고서현(古西縣)은 옛 .. 더보기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①선사시대 [담양역사] 담양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①선사시대 대나무의 고장이며 여행자들의 필수코스로 자리잡은 담양!! 그 역사는 과연 언제부터 시작됐을까요? 담양은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선사시대 2001년 문화유적 지표조사에서 대덕면 매산리와 월산면 광암리 지역에서 구석기(舊石器)시대의 유물인 뗀석기 등이 발견되어 상당히 오래전부터 우리 지역에서 사람이 살고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청동기시대 유적인 고인돌은 대전면 72기·무정면 82기 등 모두 240여기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들 지역에 정치적 사회가 형성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봉산면 제월리(齊月里)에는 석촉·석검·저석(숫돌)·석부(石斧) 등 유물이 출토된 바 있고, 무정면 강쟁리(현 담양읍)에서는 석검과 석부가, 담양읍 .. 더보기 이전 1 다음